제조지식자료실에 우리회사와 관련 글이 실려있네요. 제조지식자료실(네이버 카페)는 제가 제조업에서 생산관리 담당자로 계속해서 일하는 동안 매일 빠지지 않고 들리던 곳입니다. 이제 다시 회사에서 생산관리팀으로 발령을 앞두고 있어서 다시 업무관련된 자료를 검토하러 들렀더니...우리회사 관련된 글이 있네요. 제 이름도 실려있구요. 그래서 링크를 달아 봅니다.http://cafe.naver.com/otrs/21313http://cafe.naver.com/otrs/21314 항공 이야기 2015.11.24
90초만에 수직 이착륙 비행기가 자동차를 대체 할 수 있을까? 앞으로 몇 년 안에 주요 이동수단이 자동차에서 비행기로 바뀌게 될지도 모르겠다. 미국에서 활주로가 필요 없는 비행기를 하늘에 띄우기 위한 계획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CNN방송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덴버 기반 항공기 제조사인 '엑스티아이 에어크래프트'(XTI Aircraft)가 헬리콥터처럼 수직이착륙하며 90초 안에 순항고도에 도달할 수 있는 6인승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다. '트라이판 600'(TriFan 600)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 소형 비행기는 최고 비행속도 시속 400마일(약 643km), 최대 비행거리 1,200마일(약 1931km)이다. 일반적인 헬리콥터 속도가 시속 200~300km인 점을 고려하면 훨씬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제조사 측은 이 비행기가 실용화되면 수.. 항공 이야기 2015.11.07
Incoterms 2010 무역의 주요 거래조건[EXW, FOB, CNF(CFR), CIF, DDU, DDP] hsouhy.egloos.com/100270 매도인(수출자; seller, exporter)의 비용,의무를 기준 1. EXW (공장인도조건; EX-Works) 매도인의 작업장 구내-공장,창고 등-에서 물품을 인도함. 수출통관,수입통관 모두 매수인(수입상)의 의무임. 매도인의 의무가 가장 적은 조건으로 DDP 와 정반대 개념이라 할 수 있음. 2. FOB (본선 인도조건; Free On Board) 물품이 지정선적항에서 본선의 난간을 통과할 때까지의 제비용을 매도인이 부담함. 이후 일체의 비용과 위험은 매수인(수입상) 부담임. 3. CFR (운임 포함 인도조건; Cost and FReight, CNF(C&F) 물품 선적시까.. 항공 이야기 2015.11.07
진주·사천 시애틀처럼 항공산업 메카 될 수 있다 본보와 서경방송 주최로 지난 11일 경상대학교에서 진주혁신도시와 진주·사천 항공국가산단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지역이 미래다' 토론에서 항공국가산단이 제 궤도에 올라선다면 진주와 사천은 2030년께 인구 100만 도시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따라서 하성용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은 "진주·사천 항공국가산단이 제자리를 잡게 되면 KAI는 2020년 10조, 2030년에는 20조원 매출을 달성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2030년이 되면 현재 1만4000여명 수준의 항공산업 근무자가 15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가족까지 포함하면 진주·사천은 광역시와 맞먹는 인구가 될 것"이라고 근거를 제시했다. 진주시와 사천시는 한 뿌리, 즉 일의대수(一衣帶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역사적으로도 한 권역이었.. 항공 이야기 2015.11.07
우주항공·로봇 등이 일본 미래 10년 이끈다 그동안 일본의 성장을 이끈 것은 도요타자동차 같은 막강한 경쟁력을 갖고 있는 제조업체였다. 그러나 이들 전통 제조업외에도 일본의 새로운 황금기를 열 혁신기업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춰가고 있다.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일본은 로켓에서부터 중소형 항공기에 이르는 우주항공, 로봇, 2차 전지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집중 투자로 미래를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1. 일본의 소행성 탐사기 '하야부사2'를 탑재한 로켓이 지난해 12월3일 오후 일본 가고시마(鹿兒島)현의 로켓 발사장에서 발사되고 있다. 2. 소프트뱅크의 인간형 로봇 '페퍼(pepper)'제조업에 새로운 활로 보여주는 우주항공일본 업체들이 가장 적극적인 신산업 중 하나는 우주항공 부문이다. 미쓰비시중공업, 후지중공업을 비롯해 대형 전자.. 항공 이야기 2015.08.13
‘미래 먹거리+안보’ 드론 패키지법 뜬다 새누리당과 정부가 소형 무인항공기를 의미하는 '드론'에 대한 지원과 규제 등을 총망라한 통합 법안 제정에 착수했다. 법안에는 드론을 활용해 신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물론사생활 침해 등의 부작용을 차단하는 내용이 모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법안이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처리될지 주목된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배덕광 의원은 9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현재 드론을 규제하고 있는 항공법과 전파법 등을 하나로 묶은 이른바 '드론기술개발증진법'(가칭)을 조만간 발의할 것"이라면서 "미래창조과학부와 협의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배 의원은 또 "법안에는 드론에 대한 규제 외에도 드론산업과 관련한 용어를 표준화하고 정부의 지원 근거를 담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드론은 항공법,.. 항공 이야기 2015.08.11
저 성장 국면에도 나 홀로 고공 비행 ▲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에도 항공산업은 연평균 12.2%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사진=뉴시스]항공산업은 글로벌 경제가 저성장의 침체에 빠져 있을 때도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저가항공이 확대되면서 항공산업의 성장세는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다. 하지만 항공산업은 일부 국가에서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 늦기 전에 항공산업을 육성해야 해야 한다는 얘기다. 전세계 경제가 저성장의 늪에 빠져 있는 가운데 사상 최고의 호황기를 누리고 있는 산업이 있다. 바로 항공산업이다. 이는 중국 등 인구 대국의 소득수준 향상으로 중산층 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해외여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신규 공항 건설 붐까지 일어 하루 1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대형 공항 수는 현재 42개에서 20.. 항공 이야기 2015.08.11
전공 선택을 두고 고민하는 학생에는 드리는 선물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전공을 선택하는 기준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취업율'일 것입니다. 그것은 제가 대학 입시를 준비할 때나 그리고, 지금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부모들도 마찬가지겠죠. 제가 항공업에 종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항공과 관련된 뉴스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러한 정보들이 하고 있는 업무와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더욱 더 그러합니다. 오늘 전달할 소식은 향후 20년간 민간 항공기 조종사 56만명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소식입니다. LCC 항공사의 등장으로 인하여 민간 항공기 조종사가 부족이 이슈가 된 것은 이미 과거 사실이 되었습니다. 국내의 경우 예전에는 파일럿을 양성하는 기관이 항공대학과 공군뿐이었지만, 이제는 국내에도 민.. 항공 이야기 2015.07.23
드론... 그저 갑비싼 장난감일까요? 항공과 관련된 얘기인데... 제가 일하고 있는 항공과는 약간 다른 항공이야기입니다. 제가 요즘 부쩍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중 하나가 드론입니다. 드론을 쉽게 생각하시면 안되구요. 여기에는 항공기술과 GPS 등의 좌표를 인식하는 관제/모니터링 기술, 그리고, 무선 통신을 통한 제어 기술 등이 포함된 하이테크 기술입니다. 때문에 단순히 갑비싼 장난감이 아니구요. 최근에는 항공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그렇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은 항공촬영을 위한 고급 취미, 고급 장난감 정도로 여기기 일쑤입니다. 과련 그럴까요? 여기 국내 젊은 벤처의 꿈을 가진 이들이 그 생각을 깨뜨리고 사업화에 뛰어든 사례를 보시면... 조금 생각이 달라지겠죠? 캠퍼스 기업가센터, 희망 쏜다 서울대-KAIST 창업팀천사의 날.. 항공 이야기 2015.07.09
항공기 수주 10조 시대…일자리 7만개 창출 '날개' 활짝 편다 항공업에 종사하고 있는 1인으로써 기쁜 일입니다. 무엇보다 제가 바라다 보는 시각과도 일치는 소식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다수의 산업분야가 세계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을 잃어가고 고 있고, 또 패러다임이 그렇게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분야로 떠 오르고 있는 항공, 또 우리의 시장규모로 볼 때 정부의 지원과 같은 뒷받침(일본은 정부 주도하게 항공산업을 육성)이 필요하기에 이런 기사들 참 좋아라 합니다.산업리포트 헬기사업·공격기 수출 잇따라…올해 수주액 10조 돌파 전망 정부, G7 수준 도약위해 항공기업 300개 유치 계획 개발 초기부터 예산 지원…기업 비용부담 줄여줘야올 수주금액이 10조원을 넘어선 한국 항공산업의 성장세가 뚜렷하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선 정부의 시의적절한 지원이 뒤따라야.. 항공 이야기 2015.07.05
항공산업, 향후 30년 지속 성장 기대…인력 수요 ↑ [유망직업보고서]⑥항공분야 모두다인재 김현정 기자 | 2015.06.02 10:39 Tweet 편집자주 : 매년 직업연구 기관에서는 '미래의 유망직업'이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직업에서부터 매년 반복돼 거론되는 직업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하지만 해당 직업이 왜 미래에 유망한 직업이 될 것인지 그 이유를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다. 그래서 머니투데이 '모두다인재'는 각 분야 전문가의 눈을 통해 산업의 흐름을 분석하고 인력 수요 현황을 파악해 보려 한다. '유망직업보고서'는 '미래에 어떤 직업이 유망할까?'라는 질문에 대한 우리의 답이다. 항공산업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과 달리 비교적 최근에 성장기에 돌입한 종합시스템 산업으로 향후 30년 이상 지속 성장이.. 항공 이야기 2015.06.13